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트럼프, 일부 대학 유학생 입학금지 논의 중”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일부 대학을 겨냥해 유학생 입학을 차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가자전쟁 반전 시위에 참여한 학생을 체포하거나, 추방 절차를 잇달아 밟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것으로 해석된다.     27일 악시오스는 법무부와 국무부 관계자들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무장정파 하마스를 지지하는 학생이 너무 많은 곳’이라고 판단할 경우, 특정 대학에서 외국인 학생을 받는 것을 차단하는 방법을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대학이나 교육기관이 학생(F-1)·직업교육(M-1) 비자를 발급해줄 수 있는 ‘유학생·교환학생 인증 프로그램(SVEP)’을 승인해주지 않는 방법으로 특정 대학의 유학생 입학을 원천 차단하겠다는 설명이다. 만약 유학생 입학이 차단될 경우 각 대학의 재정 타격도 클 전망이다.     익명을 요구한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는 “외국인 학생이 있는 모든 교육기관을 검토할 것”이라며 “한 교육기관에서 너무 많은 문제가 있다면 인증을 취소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악시오스는 지난해부터 가자전쟁 반전 시위가 강하게 일어났던 컬럼비아대와 UCLA 등이 타깃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마크 루비오 국무부 장관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대학가 반이스라엘 시위와 관련해 비자가 취소된 사람이 300명을 넘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세계 모든 나라는 누구를 받아들이고, 누구를 거부할지 결정할 권리가 있다”며 “대학들을 파손하고, 학생들을 괴롭히고, 건물을 점거하는 행위에 참여한 사람들에게는 비자를 내주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교육기관의 재정상태나 수업의 질과 같은 자격이 아닌, 학생들의 시위 참여를 이유로 기관 인증을 취소한다는 아이디어는 벌써 큰 비판을 받고 있다. 실제로 트럼프 행정부에서 이와 같은 조처를 한다면 새로운 소송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행정부는 컬럼비아대 반전 시위에서 대학 당국과의 협상과 언론 대응을 맡았던 이 대학 출신 마흐무드 칼릴을 지난 8일 체포한 것을 시작으로 친팔레스타인 시위 참가 전력이 있거나 이스라엘의 가자 공격에 비판적인 목소리를 공개적으로 낸 학생 또는 연구자를 잇달아 체포해 추방 절차를 밟고 있다. 최근에는 해당 시위에 참여했던 컬럼비아대 한인 학생 정윤서 씨의 영주권을 박탈하고 신병 확보를 시도하기도 해 정씨가 당국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 법원이 트럼프 행정부에 제동을 거는 판결을 내린 바 있다.   김은별 기자입학금지 트럼프 유학생 입학 트럼프 행정부 대학가 반이스라엘

2025-03-27

캐나다 유학 더 까다로워져 -2만 달러 이상 증명 요구

 캐나다가 유학생들의 경제적 기여도에 크게 의지하고 있지만, 연방정부는 더 많은 생활비 증명에서 기존 캠퍼스 외 취업 허용 시간 원상복귀 등 유학생들에게 불리한 조치를 막 도입하기 시작했다.   연방이민난민시민부(Minister of Immigration, Refugees and Citizenship, IRCC, 이하 이민부)는 내년 1월 1일부터 유학허가를 위한 캐나다 생활비 증명(cost-of-living requirement) 금액을 1인 신청의 경우 2만 635달러로 상향 조정한다고 7일 발표했다. 여기에 추가로 첫 해 연도의 수업료와 여행 경비도 입증해야 한다.   이민부는 2000년대 초에 1만 달러로 정해 놓은 후 지금까지 유지해 왔다. 하지만 물가 상승에 따른 생활비가 올라가면서, 유학생들이 캐나다에서 정상적인 수업을 받기 위한 재정 요구 조건을 상향 조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책정된 금액은 캐나다의 저소득컷오프(LICO, Low income cut-off)의 75%에서 정했다. 이는 최소한 1인이 캐나다에서 최소한으로 지출하기 위한 금액보다 낮은 액수라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유학생이 취약성에 놓이거나 착취를 당하는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만들기 위한 목적이다.     이와 동시에 유학생이 캐나다에서 경제적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임시 조치를 연장하는 안도 내놓았다. 올해 말까지 유학생이 캠퍼스 밖에서 주에 20시간 일을 할 수 있도록 한시적으로 완화시켰던 조치를 내년 4월 30일까지 연장한다. 해당 유학생은 이미 신청을 한 경우와 12월 7일 이전에 유학허가서를 받은 신청자까지다.   또 온라인으로 수업을 들은 경우도 전체 수업의 50%를 넘지 않으면, 졸업후 취업비자(PGWP) 기간에 산정되는 교육시간으로 인정된다. 대상은 내년 9월 1일 이전까지 수업을 시작하는 유학생까지다. 원격수업을 교육기간으로 인정을 한 것은 코로나19로 캐나다에 입국하기가 까다로웠던 2020년에 도입됐다. 작년 8월 말까지는 온라인 교육을 100% 인정했지만, 이후 캐나다 입국이 다시 용이해졌기 때문에 폭을 줄였다.   이외에 팬데믹과 팬데믹 이후 노동인력 부족 등으로 기존 졸업후 취업비자 만기 소지자에게 18개월 연장 허가를 했는데, 이 조치는 올 12월 31일까지 허용하고 내년도에는 연장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편 캐나다가 유학생 입학 관련해 입학허가서를 직접 허가하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이번에는 유학허가증 신청서 양식을 변경해 받기 시작했다.   연방이민난민시민부(Minister of Immigration, Refugees and Citizenship, IRCC, 이하 이민부)는 12월 1일부터 새로운 버전의 유학허가증 신청서(IMM1294)를 받는다고 발표했다. 이 양식은 해외에 있는 유학 희망자의 신청서 양식이다.   이민부의 보안 계정을 통해 지원하는 경우, 이 새 버전의 신청서로 유학허가증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즉 12월 1일 이후에는 이전 버전의 양식을 사용한 신청서는 제출할 수 없다.   이민부는 지난 10월 27일에 12월 1일부터 유학생 유치 승인 고등교육기관(post-secondary designated learning institutions, DLI)에게 모든 신청자의 입학 허가 편지를 전부 이민부에 직접 확인을 받아야 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표영태 기자캐나다 유학 유학허가증 신청서 캐나다 생활비 유학생 입학

2023-12-07

유학생 줄어도 대학원 지원 늘어…유학생 입학 37.4% 급감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유학생이 급감했음에도 대학원 지원자·입학생 수는 오히려 늘어났다.   대학위원회(CGS)가 지난 14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0~2021학년도 가을학기 대학원 입학 지원자는 총 215만3116명으로는 전년도인 2019~2020학년도 가을학기 대비 7.3% 증가했다. 신규 대학원 입학생은 50만9999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 늘었다.   반면, 유학생은 같은 기간 37.4% 감소했다. 전체 대학원생 가운데 유학생이 차지하는 비율도 급격히 감소했다. 2019~2020학년도 가을학기 입학생 중 유학생 비율은 20%였던 것에 비해 2020~2021학년도에는 12.6%로 떨어졌다.   교육관계자들은 유학생수가 급감한 이유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유학 기피현상을 꼽았다.     유학생 수가 급감하면서 2020~2021학년도 가을학기에 수학·컴퓨터과학, 공학 전공으로 입학한 대학원생 수도 급격히 줄었다. 수학·컴퓨터과학 전공자는 16.6%, 공학 전공자는 15.8% 줄었다. 유학생만 보면 공학 전공자는 47.9%, 수학·컴퓨터과학 전공자는 46.4% 감소했다.   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가을학기 대학원 입학 유학생 수는 10년 전인 2010~2011학년도 가을학기 대비 0.8%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국 내 소수계 출신 입학생 수는 큰 폭으로 늘었다.   2020~2021학년도 가을학기 히스패닉 입학생 수가 전년 동기 대비 20.4% 증가하면서 가장 많이 늘어났고, 아시안 입학생은 16.7% 늘어 두 번째로 많이 증가했다. 흑인은 16.0%, 아메리카·알래스카원주민이 8.8%, 하와이원주민·태평양섬 주민이 1.7% 증가했다.   대학원생 입학생 수가 늘면서 전체 등록학생수도 증가했다.   2020~2021학년도 전체 등록 대학원생 수는 173만7632명으로 전년도 대비 2.5% 늘었다. 유학생 수는 전년도 대비 9.7% 감소했다. 심종민 기자

2021-10-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